박재현의 동양철학 풍경(3)

보는 것의 두 가지
기사입력 2018.10.05 19:38
댓글 0

위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하실 수 있습니다.

  • 페이스북으로 보내기
  • 트위터로 보내기
  • 구글플러스로 보내기
  •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
  • URL 복사하기
  • 기사내용 프린트
  • 기사 스크랩
  • 기사 내용 글자 크게
  • 기사 내용 글자 작게
20180915152121_22a512550166f1438a9f4ba0769bf49c_en7r.jpg
박재현 (동명대학교 글로벌문화콘텐츠학부 교수)

보는 데는 두 가지가 있다. 찰(察)과 간(看)이다. 관찰, 시찰, 고찰, 통찰 같은 말들이 찰에 해당된다. 그리고 간주, 간과, 간판, 주마간산 같은 말들은 간에 해당된다. 몇 가지 단어만 살펴봐도 간보다는 찰이 좀 어려워 보인다. 세심하게 구분해보면 간은 겉모양에 집중해서 보는 것이다. 이에 비해 찰은 겉으로 보이는 유형(有形)의 것이 아니라 그 이면에 감춰진 원리나 관계 같은 무형(無形)의 것을 보는 것이다.

 
<설문해자(說文解字)>에서는 한자어 찰을 풀이하면서 ‘뒤집어 살피는 것[覆審]’이라고 했다. 요즘말로 하면 찰은 반성적 인식에 해당된다고 하겠다. <맹자(孟子)>에도 보면 “인륜을 살핀다[察於人倫]”는 구절이 있다. 마찬가지로 사물의 이면에 있는 원리나 관계를 본다는 의미이다.
 
찰은 보고 아는 것이 아니라 그 이면의 어떤 원리와 관계성을 꿰뚫어 살피는 것이다. 그래서 찰을 잘 하려고 하면 또 다른 보는 형태인 간에 너무 얽매이지 말아야 한다. 통찰을 꿈꾸는 자는 즉물적 사실의 무게를 그냥 봐 넘길 수 있어야 한다. 그런데 이게 잘 안된다. 유형은 무형보다 훨씬 가깝게 느껴지기 때문이다. 유형의 것들은 늘 꿰뚫어 살피고자 하는 우리의 눈을 가린다.
 
원리는 유형의 것들이 억겁동안 퇴적된 다음에야 비로소 흘러나오는 침전물이다. 그 세월은 유형의 것들이 존속된 시간이고, 인간이 그것들과 부대낀 시간이고, 그래서 짠한 시간이다. 이 가혹함이 어디서 비롯된 것인 줄도 모른 체, 우리는 유년의 세월을 보내고 나이가 들었고 또 언젠가는 처음 왔을 그 곳으로 되돌아갈 것이다.
 
가을은 이런 세상의 이면에 있는 원리를 살피기 좋은 계절이다. 낙엽을 밟으며 한번쯤은 세상의 이면이 들려주는 소리에 귀 기울여도 좋을 것 같다.

 

[부산뉴스 기자 bs@busan-news.com]

위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하실 수 있습니다.

  • 페이스북으로 보내기
  • 트위터로 보내기
  • 구글플러스로 보내기
  •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
  • URL 복사하기
<저작권자ⓒ부산뉴스 & busan-news.com 무단전재-재배포금지>
댓글0
이름
비밀번호
 
신문사소개 | 광고안내 | 제휴·광고문의 | 기사제보 | 다이렉트결제 | 고객센터 | 저작권정책 | 개인정보취급방침 | 청소년보호정책 | 독자권익보호위원회 |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| RSS top
모바일 버전으로 보기